차후 광양시장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은뉴스

차후 광양시장은


<서언>

내용은 특정 후보를 지칭하거나 험담 및 선거용이 아닙니다.
다가올 광양시장선거에 앞서 그들의 공약내용을 꼼꼼히 체크하는 기준과 시의 누적된 경제, 주거, 교육, 환경 현안 및 미래 도시문제를 보는 시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좋은 참고가 되길 바라며, 이하 편의상 높임말을 생략하겠습니다.
 
<본문>
차후 광양시 리더는 담대하고 진취적이며 글로벌비즈니스를 .exe(실행파일)로 행하는 열정적 혁신주의자가 되어야 한다.
 
권력기반 보다는 서민경제를 안배하고 지방분권 행정자치를 깊이 이해하고 재해석해 기재부나 전남도에 휘둘리지 않아야 한다.
 
광양의 지리적 도시특성상 저돌적인 글로벌 유치 비즈니스가 필요하다.
해운, 항만, 공업의 경우 부산이나 포항에 비해 그리 녹록지 않다.
 
각종 이권사업 및 권한은 실무자나 결제라인에게 이임하고 펜과 폰만을 들고 서슴없이 외국출장길에 나서 현대의 고 정주영회장이 사진 한 장 들고 조선소 차관 유치에 나섰듯이 MOU 및 전략적 유치, 제휴는 균형적 시각은 갖되 저돌적으로 발로 뛰어야 성과를 이룬다.
 
- 경 제 -
산업사회는 격변하고 있다.
각종 신소재 개발로 많은 직업군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전기자동차출시는 유류세, 간접세수에 상당부분 기대고 있는 한국의 경우 큰 파장이 예견된다.
 
가까운 여수석유화학공단의 가동율이 셰일가스로인해 크게 저감되고 있고 가격경쟁력에서 해결점이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제 인근 도시문제는 같은 상품으로 경쟁할 것이 아니라 교차판매의 시각을 가져야 한다.
 
협동조합, 농부장터, 로컬푸드도 이름만 가져다 쓸게 아니라 지역기반의 생활공동체가 육성되어 복지의 상당부분이 생활공동체를 통해 독자생존이 가능하도록 힘써야 한다.
 
독자생존의 해법은 앞전 필자가 강조했던 브라질 꾸리찌바의 보완통화에 있다.
 
지역 생필품 및 상거래에 쓰일 전표형식의 통화를 발행하면 지역자본의 유동성확대와 자본의 타 시도 역외유출 차단의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고, 이것은 지역빈민을 구제하고 중앙정부를 견제할 수 있게 된다.
 
- 주거, 교육 -
한국은 주거의 자유가 법으로 보장된 나라다.
 
순천에 가정을 둔 애꿎은 공직자들만 괴롭힐게 아니라 도시특성을 인정하자.
 
순천이 생태와 환경, 교육기반 시설에 많은 투자를 하여 정주도시를 향해 간다면 같은 특색으로 경쟁치 말고 광양특성에 맞는 교육 혁신을 통해 지구력있게 특화 정주도시로서 지역지지 기반을 다져야 한다.
 
지금까지 광양 교육 발전 및 장려 형태는 그다지 성과를 보지 못했다.
 
수백억 원을 교육계 조직 안배보다는 유로존의 대표주자 독일과 같이 특화교육에 투자하여 혁신을 시도해야 한다.
 
이직율이 낮고 고등교육을 마치기 전 이미 기능공이 되어 있으며, 굳이 4년제 대학을 다녀야 할 이유가 없다. 중등, 고등과정을 특화시키고 해운, 공업에 관여된 회사들과 광양시는 깊은 연대를 통해 안정된 인력들을 배출시켜야 한다.
 
- 환 경 -
환경문제는 오염배출 업체와 생사의 혈투가 정답만은 아니다.
 
미국 미네소타주를 교훈으로, 광양만과 아주 흡사한 신일본제철소가 위치한 기타큐슈 시의 에코타운 프로젝트를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
 
환경공해로 폐허가 되어버린 도카이 만을 재생시키는 프로젝트를 배출회사와 관청이 공동투자 산.학.관.민이 협력해 행정당국과 47개 회사 54개 공장이 공해방지 협정을 체결하여 역사상 유래가 없는 연대를 이루었다는 것. (20년 동안 공해대책 비용을 행정당국이 68.6%, 민간기업이 31.4%를 부담)
 
이후 이 시스템은 자문 및 수출로 많은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
이제는 너른 가슴으로 서로를 신뢰하며 강한 신념을 기반으로 한 혁신을 이루어야 할 때이다.
 
<생 각>
한국은 불균형 개방금융경제 체재입니다.
오늘날 세계 정서는 강자만이 살아남는 포식자적 메커니즘으로 변화되고 있구요.
자국식량안보강화가 필수일 정도로...
 
일본 원전사고 이 후 각 전세계가 일본에 문호를 걸어 잠갔습니다. 비자 발급 및 교류에 쇠통을 채운거죠. 어쩌면 이 때문에 아베정권이 도발을 해대는 것 같습니다.
비정한 현실이죠.
 
차기 시장 역량이 중요한 이윤, 지방자치 도시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치란 세워진 기강에 따라 철학을 제공하는 사람이라 했습니다.
 
목숨을 걸 정도로 광양시를 발전시킬 철학이 분명한 리더를 기대해 봅니다.

 

< 김민재 기자 >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