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삶에서 우라나는 판소리의 아름다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마당

자연과 삶에서 우라나는 판소리의 아름다움

 

 < 전남 순천시 서면 출신인  구민  = 배 일 동 명창 >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소리는 천지간의 산천경물(山川景物)과 인간의 희노애락을 자연적인 발성과 장단 그리고 각양각색의 법도를 이용해 거기에 뜻을 부치고(寓意) ()을 펴낸다는(?)것을 알아보았다.

 

우리겨레 음악이 독특한 발성과 아름다운 선율을 지니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민족의 고운 심성과 둥글둥글하고 넉넉한 자연산천을 닮아 그렇겠지만 아마도 그것은 편리하고 과학적이고 자연적인 말법 즉, '한글' 덕이 아닌가 싶다.

 

우리의 말과 글은 표음문자(表音文字)로써 천지사방의 만물소리를 전하지 못할 것이 없을 정도로 우수한 언어라고 한다.

 

한글은 세계 언어 중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라고 하는데, 소리로 표현 가능한 것은 일본어는 300, 중국어는 400여 개인데 반해 한글은 무려 11,000개 정도 이상이라고 한다.

 

또 언어학으로는 세계 최고인 영국 옥스포드 대학의 언어학 대학에서 세계 모든 문자를 연구해 순위를 매겼는데 언어의 합리성, 과학성,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해서 우리글이 자랑스럽게도 1등을 했다.

 

우리글의 창제 원리는 인체의 발음기관을 상형화해 글자를 만들었다.

 

정음이십팔자각상기혀잉제지(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인성이음구칠조(因聲而音?七調)

인지유성본어오행(人之有聲本語五行)

 

즉 정음 이십팔자는 그 형태를 형상화해서 제정하였고,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악의 칠조(七調)와 잘 들어맞고 그래서 사람의 성음도 오행에 바탕을 두었다  

* 초성(初聲), 종성(終聲)

五音()

(..)

(...)

(..)

(..)

(.)

五行

五時

季夏

五音

五方

中央

西

* 중성(中聲)

基本音

字形

象形內容

發音詩 혀모양

혀의 전후 위치와 입을 여는
자이에서 오는 느낌

         .

小縮

不探不淺

不縮

위에서 보듯이 한글 자체가 천지우주자연이고 만물의 소리 자체이다. 판소리 같은 음악이 생겨난 것도 한글이 아니었다면 꿈도 못 꿀 일이다.

 

판소리에서 "다루친다"는 목(방법)도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해서 시김새를 만들어 사랑가 한 대목을 자지고 살펴보면,

 

하교불상송허니 강수 원함정(河橋不相送허니 江水遠含情)

 

이 대목에서 "강수"를 부를 때 "가아앙수"라고 길게 늘어뜨리게 되는데 이것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기교목을 씁니다.

 

대개 소리를 모르는 사람은 기교목을 구사할 때 일정한 법도 없이 목만 흔들어 대는 줄 안다.

 

그러나 실은 그렇지가 않고 거기에는 엄연한 법도가 있는 것이지요. 그럼 삼성(三聲)의 원리를 잠깐 보겠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온 글이다.

 

삼성(, , )의 깊은 이치를 살피면 스스로 강유에 음양이 있으며

중성은 곧 하늘의 용()이라 음양으로 나누고, 초성은 땅의 공()이라 강유가 들어나네

중성이 부르고 초성이 화답함은

하늘이 땅보다 앞서서 이치가 스스로 그러하네!

화답한 그것(초성)이 처음 되고 또 나중 되네!

만물이 생겨나 모두 땅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네

음은 변해 양이 되고 양은 변해 음이 되어

한번 동하고 한번 정하여 서로 뿌리가 되네!

초성은 또다시 발생의 뜻이 있어

양의 동이 되므로 하늘을 주관하고

종성은 땅에 비기어 음의 정이니

자음은 여기서 그치어 정해지는 것이네

운을 이루는 요점은 중성에 있으니

사람이 능히 천지를 도울 수 있기 때문이네

 

이 지구상 그 어느 나라에도 없는 발성원리이지 않습니까!  이러한 말법이 음악에는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즉 노랫말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느냐 추상적으로 표현하느냐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서양음악은 이성적이며, 기계적이어서 자연적인 것보다는 인위적인 것이 많다.

 

                                                                                       < 구민 = 배 일 동 명창 >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